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31 |
- 개발
- components
- hooks
- TypeScript
- 리액트
- 개발공부
- HTML
- Tanstack Query
- 프론트
- 콜백
- 프론트엔드
- 개발자
- 자바스크립트
- 공식문서
- JavaScript
- CSS
- 인터넷
- 코딩
- 탄스택쿼리
- 리액트쿼리
- 타입스크립트
- Tanstack
- props
- 부트캠프
- react
- 프론트엔드 스쿨
- JS
- 제로베이스
- TS
- 조건문
- Today
- Total
목록JavaScript (22)
SUE 개발 블로그

논리연산자를 활용한 단락회로 평가 console.log(true && true); // 양쪽의 피연사자가 true 여야 true. 만약 앞이 false이면 뒤는 볼 필요가 없음. // 이렇게 피연산자 중에 뒤에 위치한 피연산자를 확인할 필요없는 것을 // "단락회로 평가" 라고 한다. console.log(true || false); // 둘중의 한 쪽만 true 여도 true // 앞에 값이 true가 되면 뒤에 값이 뭐가 오든 상관이없음. // "단락회로 평가" 가 이루어짐. (앞의 true만 보고 결과종료) console.log(!true); 응용하여 사용하기 (코드 뜯어보며 이해하기) const getName = (person) => { if (!person) { return "객체가 아닙니다."..

삼항 연산자는 참/거짓에 따라 선택적으로 실행되는 조건문이다. 직접 작성한 예제를 보며 삼항 연산자에 대해 알아보자 🙄 예시1 ) let a = 3; if (a >= 0) { console.log("양수"); } else { console.log("음수"); } // 를 삼항연산자를 이용하면 더 짧고 간단하게 표현가능하다. let a = 3; a >= 0 ? console.log("양수") : console.log("음수"); // 가장 처음에는 조건식. 그 다음 물음표 키워드(앞에가 조건식이다를 명시) // 그 후에는 참일 때 수행할 식과 거짓일 때 수행할 식이다. 예시2 ) let a = []; if (a.length === 0) { console.log("빈 배열"); } else { console..

let a = ""; if (a) { console.log("TRUE"); } else { console.log("FALSE"); } // FALSE가 출력된다. // 조건식에 a처럼 변수를 입력했다. // a는 true도 false도 아닌 string 이란 자료형으로 이루어져있다. // 빈 문자열 string을 가진 a라는 변수를 if문의 조건식에 넣으면 거짓으로 인지한다. let a = []; // TRUE let a = undefined // FALSE // 위와 같은 값이 나오는 특이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. // 자바스크립가 자신만의 특정한 기준으로 갑슬 참이나 거짓으로 분류하는 // Truthy 와 Falsy 개념을 알아보자. ( 그 자신만의 기준이란? ) let a = []; // = {}; ..

콜백 함수란 ? 어떤 다른 함수에 매개변수로 함수를 넘겨준 것을 뜻한다. 기분에 따라서 다른 행동을 하는 프로그램으로 예시를 들어보자. function checkMood(mood, goodCallback, badCallback) { if (mood === "good") { // 기분 좋을 때 하는 동작 goodCallback(); } else { // 기분 안 좋을 때 하는 동작 badCallback(); } } function cry() { console.log("ACTION :: CRY"); } function sing() { console.log("ACTION :: SING"); } checkMood("sad", sing, cry); badCallback에 cry라는 함수가 값으로써 들어왔다 -> ..

" 함수도 자바스크립트 내에선 자료형. 값의 분류. 값이기 때문에 변수나 상수에 담아서 활용할 수 있다. " 함수에는 함수 표현식과 함수 선언식 두가지의 방식이 있다. let helloA = function () { return "안녕하세요!"; }; // 함수 표현식 function helloB() { return "안녕하세요!"; } // 함수 선언식 그리고 만약에 함수가 선언되기전의 라인에서 함수를 선언하면 어떻게될까? console.log(helloB()); // 안녕하세요! 가 출력되는 것을 알 수 있다. let helloA = function () { return "안녕하세요!"; }; // 함수 표현식 function helloB() { return "안녕하세요!"; } // 함수 선언식 위..

자바스크립트 뿐만 아니라 코딩을 하다보면 똑같은 동작을 하는 코드들이 여기저기 존재하고, 가끔은 그런 코드들이 종종 필요할 때가 많다 이런 중복되는 동일한 동작의 코드들을 하나로 묶는 함수란 걸 사용해야한다. 예를 들어 직사각형의 면적을 계산하고 계산된 값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만든다고 생각하자. let width = 10; let height = 20; let area = width * height; console.log(area); // 200 간단하게 만들면 이렇게 된다. 하지만 2개, 또는 5개 이상의 직사각형의 면적을 구해야 한다면? width, height의 값만 다른 것을 반복해서 여러개를 만들어야한다. 함수를 이용해서 해결해보자. function getArea() { // function ..

let a = 3; if(a >= 5){ console.log("5이상 입니다."); } else { console.log("5이하 입니다."); } // 조건문은 if로 시작하며 조건과 맞을시 출력과 아닐시 출력을 작성할 수 있다. // 이분법이 아닌 더 많은 경우를 두려면 if (a >= 7) { console.log("7이상 입니다."); } else if (a >= 5) { console.log("5이상 입니다."); } else { console.log("5미만 입니다."); } // 이런식으로 사용할 수 있으면 else if는 여러개를 사용할 수 있다. 위에서 순차적으로 내려가며 확인한다. let country = "ko"; if(country === "ko") { console.log("한국..

대입 연산자 let a = 1; 산술 연산자 let a = 1; let b = 2; console.log(a + b); // 3 더하기 console.log(a * b); // 2 곱하기 console.log(a - b); // -1 빼기 console.log(a / b); // 0.5 나눈 후 몫 구하기 console.log(a % b); // 1 나눈 후 나머지 구하기 연결 연산자 let a = "1"; let b = "2"; console.log(a + b); // 3이 아닌 12가 나온다. // 이렇게 두개 이상의 문자열을 이어 붙이는 것을 연결 연산이라고 부른다. // 만약 a가 문자열이 아닌 let a = 1; 이여도 자동으로 연결 연산자로 바뀐다. 묵시적 형변환 ! 복합 연산자 let a =..

자료형이란 값을 성질에 따라 분류한 것. 지금은 원시타입 자료형을 우선 학습하고 뒤의 비원시적 자료형은 추후에 더 자세히 정리할 것이다. 차근 차근 🧐 ! 원시 타입 let number = 10; 한번에 하나의 값만 가질 수 있음 하나의 고정된 저장 공간 이용 비 원시 타입 let array = [1,2,3,4]; 한번에 여러 개의 값을 가질 수 있음 여러 개의 고정되지 않은 동적 공간 사용 숫자형 let age = 25; // 정수 let tall = 178.5 // 실수 let inf = Infinity // 무한대 let minusInf = -Infinity // 음의 무한대 let nan = NaN; // 연산이 잘못되었을 때. // 숫자형은 물론 사칙연산도 가능하다 console.log(age ..

console.log('Hellow World!') 우리는 자바스크립트를 하면서 console.log 로 값을 확인하면서 코딩을 한다. 그 중 흔하게 발생하는 에러를 짚고 넘어가자. console is not defined : console 입력 중에 오타가 나면 발생하는 에러, 대소문자도 구분하므로 소문자로 작성. cosole.log is not a function : console은 제대로 입력했으나 log에서 오타가 나면 발생하는 에러. after argument list : 따옴표를 사용하지 않을 때 발생하는 에러. 'Hellow, World!' 같은 문자는 `(백틱)이나 '(작은 따옴표) 또는 "(큰 따옴표)로 감싸줘야한다. Invalid or unexpected token : 따옴표의 짝을 맞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