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제로베이스
- 프론트
- 탄스택쿼리
- CSS
- 프론트엔드
- HTML
- JavaScript
- Tanstack Query
- 개발공부
- 인터넷
- 프론트엔드 스쿨
- 리액트쿼리
- 공식문서
- 개발자
- components
- react
- JS
- 콜백
- TypeScript
- 부트캠프
- 리액트
- Tanstack
- 타입스크립트
- 코딩
- TS
- props
- hooks
- 개발
- 자바스크립트
- 조건문
- Today
- Total
목록프론트 (3)
SUE 개발 블로그

순서대로 실행하는 것(동기)과 그렇지 않은 것(비동기) 들 자바스크립트 엔진이 동작하는 원리를 파악해보자. 우리가 만약 세가지의 작업을 다 해야하는 상황. 각각의 작업은 TASK A, B, C 함수로 만들어 놓고 이 작업을 모두 순서에 상관없이 해야한다면? 프로그래밍된 코드를 계산해서 실행시키는 연산과정을 진행하는 일꾼을 쓰레드라고 한다. 이 과정은 코드 한줄 한줄마다 진행되며 스레드는 코드를 한줄 한줄 실행시켜주는 친구라고 생각하면된다. taskA를 작업하고 있다면 taskB를 작업하지 않고 A가 끝나야 B작업으로 넘어갈 수 있다. 이렇게 지시한 순서대로 작업하면서 앞에 작업이 끝나기를 기다렸다가 뒤에 작업을 하는 것을 동기적 방식이라고 한다. 그리고 스레드에서 작업 하나가 수행 중일 때 다른 작업을 ..

삼항 연산자는 참/거짓에 따라 선택적으로 실행되는 조건문이다. 직접 작성한 예제를 보며 삼항 연산자에 대해 알아보자 🙄 예시1 ) let a = 3; if (a >= 0) { console.log("양수"); } else { console.log("음수"); } // 를 삼항연산자를 이용하면 더 짧고 간단하게 표현가능하다. let a = 3; a >= 0 ? console.log("양수") : console.log("음수"); // 가장 처음에는 조건식. 그 다음 물음표 키워드(앞에가 조건식이다를 명시) // 그 후에는 참일 때 수행할 식과 거짓일 때 수행할 식이다. 예시2 ) let a = []; if (a.length === 0) { console.log("빈 배열"); } else { console..

대부분의 개발 질문에서 항상 중복되는 답변은 아래와 같다. 공식문서는 읽어보셨어요 ? 공식문서 읽고 활용하는 습관을 기르기 위해서 진행 중인 부트캠프 과정 중 자바스크립트를 시작하기전에 자바스크립트를 시작으로 공식문서를 읽는 습관을 키워보려 한다. 매번 "이거해야 해, 저거해야 해" 하느라 "공식문서는 뭐 나중에..." , "chatGPT 한테 묻지 뭐" 라는 생각을 가지고 게을러진 것 같다. 사실 이미 여러 곳에서 공식문서의 중요함을 어필하는 말들을 많이 들어봤을텐데 말이다. 공식 문서를 읽고 이해하는 과정의 경험 또한 읽지 않는 사람과의 차이가 생길꺼라 생각한다. 또한 이런 습관을 통해서 React 라던가 React-Query, React-Recoil, TailwindCSS 외 등 모르는 것을 처음 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