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Tanstack
- 공식문서
- 콜백
- JS
- JavaScript
- react
- props
- TS
- 프론트엔드 스쿨
- 개발공부
- 프론트
- TypeScript
- Tanstack Query
- 자바스크립트
- 개발
- 탄스택쿼리
- 리액트
- 제로베이스
- 개발자
- hooks
- CSS
- 리액트쿼리
- 부트캠프
- components
- 조건문
- 프론트엔드
- 타입스크립트
- 인터넷
- HTML
- 코딩
Archives
- Today
- Total
SUE 개발 블로그
자바스크립트 연산자 본문
대입 연산자
let a = 1;
산술 연산자
let a = 1;
let b = 2;
console.log(a + b); // 3 더하기
console.log(a * b); // 2 곱하기
console.log(a - b); // -1 빼기
console.log(a / b); // 0.5 나눈 후 몫 구하기
console.log(a % b); // 1 나눈 후 나머지 구하기
연결 연산자
let a = "1";
let b = "2";
console.log(a + b); // 3이 아닌 12가 나온다.
// 이렇게 두개 이상의 문자열을 이어 붙이는 것을 연결 연산이라고 부른다.
// 만약 a가 문자열이 아닌 let a = 1; 이여도 자동으로 연결 연산자로 바뀐다. 묵시적 형변환 !
복합 연산자
let a = 5;
a = a + 10;
console.log(a); // 15
// 위에 적은대로 결과가 잘나오지만 a가 여러번 나오는게 맘에 들지않는다. 이럴 때 복합 연산자를 이용한다.
let a = 5;
a += 10; // 15
// 산술과 대입 연산자를 짬뽕하여 사용한 것이며 - * / 모두 이용가능하다.
증감 연산자
// 증감 연산자는 말그대로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것 ( 숫자형에만 사용가능 )
let a = 10;
a++;
console.log(a); // 11
a--; // 9
// console.log에 바로 사용하면 ?
console.log(a++); // 10
console.log(a--); // 10
console.log(++a); // 11
console.log(--a); // 9
// 무슨 차이가 있는데 뒤에 붙인 것 안먹히고 앞에 붙인건 먹혔을까?
// 증감연산자는 뒤에 쓰게되면 라인이 끝나고 나서 값이 바뀌게 된다.
consol.log(a++); // 10
console.log(a); // 11
// 이것을 후위 연산이라고 하며 사용하면 적용된 라인 뒷부분 부터 값이 바뀌게 되는 것이다.
// 반대로 앞에 ++a 를 적으면 바로 11이 나온다. 이것을 전위 연산자라고 칭한다.
논리 연산자
boolean 형을 위한 연산자이다.
// Not 연산자
console.log(!true); // false
console.log(!false); // true
// not 이란 것으로 !을 붙이면 반대값이 나오는 연산자이다.
// And 연산자
console.log(true && true); // true;
console.log(true && false); // false;
// 둘다 true 여야 true가 나온다 true And true
// Or 연산자
console.log(true || false); // true
console.log(false || false); // false
// 둘 중 하나만 참이여도 참이나오는 연산자이다.
비교 연산자
let compareA = 1 == "1"; // true
// 1과 문자열 "1"이 같냐 ? == 을 두개만 쓰면 값이 똑같기 때문에 true라고 뜬다.
// 값이 아닌 자료형까지 비교하고 싶으면 === 을 사용하면 된다.
let compareA = 1 === "1"; // false
// 반대로 같지 않냐를 물어보냐는 !를 붙이면 된다.
let compareA = 1 != "1"; // false // 값이 같기 때문에 false
let compareA = 1 !== "1"; // true // 자료형이 다르기 때문에 true가 뜬다.
// 대소 비교
let compareA = 1 > 2; // false
let compareA = 1 < 2; // true
let compareA = 2 >= 2; // true
typeof
let compareA = 1;
console.log(typeof compareA); // number
let compareA = "1";
console.log(typeof compareA); // string
자료형의 형태를 알려준다.
null 병합 연산자
let a;
a = a ?? 10;
console.log(a); // 10
// ??는 양쪽의 피연사자중 null 이나 undefined가 아닌 값을 선택한다.
// let a; 하고 위에 아무런 값을 할당하지 않았기 때문에 undefined를 자동으로 가지게된다.
'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자바스크립트 함수 (2) | 2023.11.14 |
---|---|
자바스크립트 조건문 (0) | 2023.11.01 |
자바스크립트 자료형과 형 변환 (4) | 2023.10.23 |
자바스크립트 에러와 자료형 (0) | 2023.10.23 |
자바스크립트 변수와 상수 (0) | 2023.10.22 |